LIKE A DIAMOND

python 003. 리스트 소개 본문

notUsed_STUDY

python 003. 리스트 소개

OPENLUNCH 2017. 7. 15. 22:42
728x90
반응형

python 003. 리스트 소개


ex_list.py



리스트란  list - 특정 순서가 있는 항목의 모음.

알파벳, 숫자, 이름 등 무엇이든 리스트가 가능 .

보통 리스트 항목이 두개 이상이므로 리스트 이름은 letters, names 처럼 뒤에 s를 붙임.

리스트는 대괄호 [ ] 로 표현, 각 항목은 쉼표로 구분 


colors = [ 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print(colors)


[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
첫번째 항목 반환하기 

print(colors[0]) 


red 

즉, 인덱스의 위치시작은 0부터.


print(colors[1]) 

print(colors[3]) 


blue 

green 


-1의 경우

print(colors[-1]) 

green 

마지막 항목을 반환.

즉 "-"는 뒤에서 몇번째의 위치를 말한다.


리스트의 각 값의 사용

colors = [ 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print(colors)


print("I like " + colors[0].title())

print("I like " + colors[2].title())


[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I like Red

I like Yellow


리스트 항목수정 water를 coffee로 변경 첫번째항목이므로 위치는 "0"

drinks = ['water', 'juice', 'alcohol', 'milk', 'beer']

print(drinks)

drinks[0] = 'coffee'

print(drinks)

출력

['water', 'juice', 'alcohol', 'milk', 'beer']

['coffee', 'juice', 'alcohol', 'milk', 'beer']


리스트 항목추가 

music = ['classic', 'pop', 'rap']

print(music)

music.append('elec')

print(music)

출력

['classic', 'pop', 'rap']

['classic', 'pop', 'rap', 'elec']


리스트에 항목 삽입

drinks = ['water', 'juice' ]

print(drinks)

drinks.insert(0,'coffee')

drinks.insert(2,'beer')

print(drinks)

출력

['water', 'juice']

['coffee', 'water', 'beer', 'juice']


항목제거 1

colors = [ 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print(colors)

del colors[0]

print(colors)

출력

[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['blue', 'yellow', 'green']


항목제거2 스택구조 

music = ['classic', 'vocal', 'rap']

print(music)

popped_music = music.pop()

print(music)

print(popped_music)

배열을 스택구조로 넣도록함.

맨마지막에 들어간 'rap'이 팝되며 제거. 

출력

['classic', 'vocal', 'rap']

['classic', 'vocal']

rap


리스트 위치에서 항목 꺼내기 및 리스트에서 삭제

colors = [ 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print(colors)

First_owned = colors.pop(0)

print("I like " + First_owned.title() + "!!")

출력

[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I like Red!!


값으로 항목제거

face = ['eye', 'nose', 'mouth', 'ear']

print(face)

face.remove('mouth')

print(face)

출력

['eye', 'nose', 'mouth', 'ear']

['eye', 'nose', 'ear']


제거한 항목을 변수에 저장후 다시 사용하기

face = ['eye', 'nose', 'mouth', 'ear']

print(face)

miss_name = 'mouth'

face.remove(miss_name)

print(face)

print("I missed " + miss_name.title() +'.')

출력

['eye', 'nose', 'mouth', 'ear']

['eye', 'nose', 'ear']

I missed Mouth.



@@리스트 정리하기


영구 정렬 + 알파벳순 정렬 / sort()이용 후 순서 변경 절대불가

colors = [ 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colors.sort()

print(colors)

['blue', 'green', 'red', 'yellow']


알파벳 반대 순서 정렬

colors = [ 'red', 'blue', 'yellow', 'green']

colors.sort(reverse=True)

print(colors)

['yellow', 'red', 'green', 'blue']


임시 정렬. 원래 순서를 유지하면서 정렬된 순서로 표현 또는 출력만 하려 할때 사용

cars = ['bmw', 'audi', 'wolkwagen']

print("Here is the original list:")

print(cars)

print("\nHere is the soted list:")

print(sorted(cars))

print("\nHere is the original list again:")

print(cars)

출력

Here is the original list:

['bmw', 'audi', 'wolkwagen']


Here is the soted list:

['audi', 'bmw', 'wolkwagen']


Here is the original list again:

['bmw', 'audi', 'wolkwagen']


리스트 반대 순서로 출력

cars = ['bmw', 'audi', 'wolkwagen']

print(cars)

cars.reverse()

print(cars)

출력

['bmw', 'audi', 'wolkwagen']

['wolkwagen', 'audi', 'bmw']


리스트 길이구하기

cars = ['bmw', 'audi', 'wolkwagen']

len(cars)


인덱스 에러피하기

cars = ['bmw', 'audi', 'wolkwagen']

print(cars[3])


['wolkwagen', 'audi', 'bmw']

Traceback (most recent call last):

  File "ex_list.py", line 114, in <module>

    print(cars[3])

IndexError: list index out of range


3의 위치가 없다. -1을 사용하여 맨 마지막 출력.

cars = ['bmw', 'audi', 'wolkwagen']

print(cars[-1])

wolkwagen


다만 -1도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다.

이는 배열에 값이 아무것도 없는 경우이다.

728x90
반응형
Comments